본문 바로가기

공지사항

농업기술센터-열린마당-공지사항 상세보기 - 제목, 부서, 내용, 파일, 조회수, 작성일 정보 제공
원예 유통분야 재해실태결과
작성일 : 2006-05-08 조회 : 2,755
부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⊙ 관계기관별 재해실태조사결과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가. 비닐하우스 재해 피해복구실태 조사·분석결과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◦ 최근 비닐하우스 시설피해는 설계기준(적설 9.5~28㎝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이상의 대설이 피해의 주요 원인임 (공통의견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※ 지자체 행정조사결과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 피해실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· 피해시설 대부분은 내하중이 낮은 자재(φ25mm×1.5t)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철선조리개를 사용, 농가에서 자가시공 하였으나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일부(5%내외)는 φ32mm ×1.5~2.2t 파이프, 수지조리개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전문업체 시공시설도 피해를 입었음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 복구실태(‘04재해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· 충북(75개소), 충남(95개소)의 피해시설복구시 대부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기존시설 수준의 규격으로 농가에서 자가시공하며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일부농가(5%내외)는    하우스폭 또는 서까래간격 혹은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지름을 한단계 높여 시공하였음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◦ 농업인의 재해예방관리 소홀, 내구연한이 오래된 하우스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등이 재해에 취약 (공통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 주로 겨울철 휴경, 무가온 하우스, 눈쌓일때 대처미흡등으로 피해발생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 필름손상, 측창·출입문 개방 등에 의한 보온손실도 피해의 원인(나주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◦ 단동하우스의 피해 실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 적설량 과다시 M자형 붕괴, 하우스 동간 간격이 좁은 경우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측면에 적설 누적에 대한 대처불가 등으로 하우스 측면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붕괴됨 (원예시험장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 단동하우스는 접합부(철선조리개)가 취약(농촌공사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◦ 연동하우스는 연결 곡부에 적설 집중에 취약(충남, 농촌공사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 곡부 적설방지시설 부족(비닐개폐기, 난방·제설시설) (원예시험장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 주로 1-2W형(‘95), 기초가 부실한 하우스에서 주로 피해발생(전남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 3동이상의 다연동하우스 및 지붕기울기 낮은 단동하우스 취약(전남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 곡부 적설을 녹인후 배수지연도 피해원인(기울기 부족, 배수로 미비 등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◦ 농가의 자가시공시 규격미준수, 부실시공으로 취약(시설협회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온실내 4~5겹 누빔커텐 사용시 습도 등에 의한 하중증가도 피해원인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농업인이 자가시공시 기초의 수평, 수직설치 미흡, 서까래 길이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각도 오차, 불균일 자재사용 등 부실시공으로 재해에 취약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토마토, 파프리카 등 키큰 작물의 유인줄에 작물하중 가중시 재해에 취약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표본조사결과 시설폭 8m이상 비규격도 피해의 원인임(원예시험장)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나. 피해예방 우수사례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< 우수사례 >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□ 우수사례 1 : 규격조정·보강·개선관련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◦ 단동하우스 규격조정 등을 통한 피해예방(원예시험장, 충북도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서까래 φ40mm × 60~70cm, 파이프매설 60cm(충주 달천 신대작목반 14호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서까래 φ32mm × 70cm, 이중피복 보온관리(고창, * 정읍, 1중피복은 피해발생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◦ 보강지주설치, 파이프 중간골격 보강을 통한 재해예방(공통, 일본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보강지주로 재해예방(단양 어상천 석교리 400평, 논산 노성면 35동 등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이중시설 개방후 난방, 4m간격으로 보강지주 설치(부여, 보은 외속리 등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서까래 φ32mm하우스를 2m간격마다 φ48mm*2.3t등으로 보강(공주, 옥천)   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1-2W형 중방을 사다리형으로 보강(부여 세도 간대리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※ 저비용 내후성 온실 보급지원(일본 사례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‘01~‘05까지 150개소 140ha추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법인·단체의 사업계획을 평가, 기준강도(적설50kg, 풍속50m/s)이상의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시설계획에 대하여 보조 50%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특징 : 기초 및 접합부분 강화, 주기둥 철골각관, 피복은 불소필름 사용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설치비 : 6~7백만엔/10a (비용과다, ※ 아국의 자동화온실 45백만원/10a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□ 우수사례 2 : 재해대비 부대시설 추가설치 등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◦ 수막재배시설 가동에 의한 눈쌓임 방지(충북 음성, 제천 백운 운학리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 음성지역은 ‘01대설피해후 수막시설을 많이 설치하여 재해예방에 사용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◦ 비닐개폐기 설치로 재해예방 및 환경개선(제천 백운 덕동리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 계폐시설 설치비용 50만원/10a 소요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◦ 하우스내 측고 부근을 철선(파이프) 연결하여 보강함으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야생화 50여종 20만본(1억원)의 재해예방(제천 송학 시곡리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□ 우수사례 3 : 농업인의 재해대응 철저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◦ 비닐하우스내 불피우기 가온 등을 통한 재난예방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볏짚단을 묶인채로 태워 2천평하우스 재해예방(진천 덕산 석장리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하우스 내 왕겨를 태워 가온한 경우도 피해예방(전남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수박육묘하우스에 100W전구 4평당 1개설치(단양 어상천 대전리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◦ 비닐하우스 찢기로 출하기 농작물 재해예방(청주 분평동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재해대책정보, 지침 등을 참고하여 눈쌓인 부분을 면도칼로 찢음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* 무너진 하우스, 비닐찢은 하우스내의 화훼작물 냉해방지를 위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소형터널 설치로 피해확대 방지(청원 문의 품곡리)

파일

콘텐츠 만족도 조사
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?

만족도 조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