만화로 보는 일생 코너에서는
정지용의 출생에서 전쟁과 함께 실종되기까지의 주요 내용을 만화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.
출생과 결혼

1. 1컷
- 이미지설명 : 출산후를 배경으로 한는 이미지 아버지가 우는 아이를 달래고 있다.
- 자막 : 정지용은 1902년 5월15일 충북 옥천군 옥천면 하계리에서 아버지 정태국과 어머니 정미하 사이에 독자로 태어났다.
2. 2컷
- 이미지설명 : 용이 하늘로 솟아 오르는 이미지
- 자막 : 정지용의 아명 池龍은 태몽에서 유래하였는데 용이 연못에서 하늘로 솟아오르는 꿈이었다.
3. 3컷
- 이미지설명 : 종이에 "지용" 이라는 글씨를 쓰고있다.
- 자막 : 나중에 芝溶을 본명으로 삼았고 필명으로는 ´지용´을 썼다.
4. 4컷
- 이미지설명 : 두사람의 대화 이미지
- 자막 : 별명은 ´신경통´,´닷또상´,´정종´이 있었다.(닷또란 일본의 소형 차 이름이다), 정종 못봤어?, 닷또상? 저기있잖아
5. 5컷
- 이미지설명 : 옛 전통혼례 이미지
- 자막 : 열두살 나이에 동갑인 송재숙과 결혼한다.
6. 6컷
- 이미지설명 : 보자기가방을 맨 정지용의모습
- 자막 : 1914년, 옥천공립보통학교(현, 죽향초등학교)를 졸업한다.
이미지 확대보기
학창시절

1. 1컷
- 이미지설명 : 정지용이 친구 홍사용, 박팔양, 김영랑, 이태준과 함께 이야기 하고있는 이미지
- 자막 : 1918년, 열일곱 나이에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 문학활동을 시작한다.
2. 2컷
- 이미지설명 : 빈책상과 빈의자의 이미지
- 자막 : 3.1운동이 발발하고 학내문제 집회에 주동적으로 참가하여 무기징역을 받았으나 곧 복학하기도 하는데...
3. 3컷
- 이미지설명 : 변화를 표현하는 배경이미지가 사용되었다.
- 자막 : 그래 12월 <서광>창간호에 발표한 단편소설 ´三人´은 정지용의 유일한 소설이 되었다.
4. 4컷
- 이미지설명 : 정지용이 한 어르신과 대화하는 장면
- 자막 : 어르신:대학을 보내줄테니께 졸업하면 우리 핵교와서 봉사하는겨...어뗘? 괜찮은 조건이지? ,정지용:아!
5. 5컷
- 이미지설명 : 논밭이 있는 시골길을 걷고있는 정지용
- 자막 : 형편이 어려운 까닭에 교비생으로 일본 동지사 대학에 입학하라는 제안을 받아 들이는데... 이는...대학 졸업후 해방되던 해까지 휘문에서 장기간 평교사로 근무를 하게되는 계기가 된다.
이미지 확대보기
문단데뷔

1. 1컷
- 이미지설명 : 시(바다, 향수...등등)를쓰고잇는 정지용과 시집을 읽고있는 시민들의 이미지
- 자막 : 1926년은 공적인 문단활동이 시작된 해이며 40편이 넘는 시를 발표하는 왕성한 활동을 보인다.
2. 2컷
- 이미지설명 : 정지용부인의 출산이미지 정지용이 아이를 안고 기뻐하고있다.
- 자막 : 그의 나이 스물일곱에 장남 구관이 태어났다.
3. 3컷
- 이미지설명 : 잔디위 사람들이 둘러않아 정지용의 시를 듣고 있다.
- 자막 : <시문학>동인으로 참가... 정지용: 보고 싶은 마음 호수만 하니 눈감을 밖에
4. 4컷
- 이미지설명 : 책상위 시집이 놓여있는이미지
- 자막 : 서른네 살에 제1시집 <정지용시집>을 출간한다.
5. 5컷
- 이미지설명 : 상가집의 이미지
- 자막 : 1937년 음력3월, 북아현동 자택에서 부친이 세상을 떠나다. 정지용: 아버지.....!
이미지 확대보기
문단활동

1. 1컷
- 이미지설명 : 접수된 시를 읽고 검토하는 정지용
- 자막 : 1939년<문장>지 창간과 함께 시 부문 심사위원이 되어 ...
2. 2컷
- 이미지설명 : 검토가 끝나고 기뻐하는 정지용
- 자막 : 탁탁! 조지훈, 박두진, 박목월, 김종한, 이한직, 박남수등을 등단시킨다.
3. 3컷
- 이미지설명 : 언덕의 나무아래 앉아있는 정지용이미지
- 자막 : 1941년, 마흔살에 제2시집 <백록담>을 출간하며...
4. 4-5컷
- 이미지설명 : 옛집의 문앞에 가지런히 놓여있는 고무신이 그려진 이미지와 무언가 정지용에게 강요하는듯한 이미지
- 자막 : 경향신문 주필을 거쳐 이화여자전문학교도 사임하고 초당에서 서예를 하면서 지내던 중 보도연맹에 가입하게 되고. "쾅쾅 어서 쓰란말이오!
이미지 확대보기
6·25 이후

1. 1컷
- 이미지설명 : 전쟁이 배경이되는 이미지
- 자막 :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...!!
2. 2컷
- 이미지설명 : 어머니와 아들이 전쟁에 두려워하는 이미지
- 자막 : 콰쾅
3. 3컷
- 이미지설명 : 전쟁후 황폐화된 땅의 이미지
- 자막 : 전쟁은 모든것을 쓸어갔다... "전쟁과 함께 그는 사라졌다!"
4. 4컷
- 이미지설명 : 사람들의 오고가는 이야기를 표현하는 이미지
- 자막 : 정지용이 월북했다...!!, 미군에게 처형당했다던데?, 남북된거다., ...어쨋든 작품은 출판금지!
5. 5컷
- 이미지설명 : 한아이가 TV에서 이산가족을 찾는 정구관씨의 장면을 보고있다.
- 자막 : 웅성웅성, 웅성웅성, 북한에서도 정지용을 찾네요?!
6. 6컷
- 이미지설명 : 정구인씨와 정구관씨, 정구원씨의 상봉 이미지
- 자막 : 북한에 사는 셋째아들 정구인씨가 이산가족 상봉시 형 구관과 여동생 구원을 만나고...
7. 7컷
- 이미지설명 : 변화를 표현하는 배경이미지가 사용되었다.
- 자막 : 1988년 민주화의 진전과 함께 금지했던 문인 작품이 풀리고 출판이 허용되나...
8. 8컷
- 이미지설명 : 구름이 있는 하늘배경
- 자막 : 전쟁과 함께 사라진 그를... 다시는 볼 수 없었다. <끝>
이미지 확대보기